본문 바로가기
독서/리팩터링

[리팩터링] 챕터05. 리팩터링 카탈로그 보는 법

by 공부하는개미 2022. 5. 25.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5.1 리팩터링 설명 형식

  • 가장 먼저 이름이 나온다. 이름은 리팩터링 용어를 구축하는 데 중요하다. 책 전반에서 해당 리팩터링을 이 이름으로 지칭한다. 같은 기법을 다르게 부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그중 흔한 이름도 함께 소개한다.

  • 다음으로 리팩터링의 핵심 개념을 간략히 표현한 개요(개념도 + 코드 예시)가 나온다. 원하는 리팩터링을 찾을 때 도움이 될 것이다.
    • 개요는 리팩터링의 개념이나 수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나중에 다시 찾아볼 때 이 기법이 어떤 것인지 쉽게 떠올리기 위한 것이다.

  • 그 다음에 나오는 배경은 해당 리팩터링 기법이 왜 필요한지와 그 기법을 적용하면 안 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 이어서 나오는 절차는 리팩터링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제시한다.
    • 오랜만에 적용하는 리팩터링의 구체적인 단계를 잊지 않도록 개인 노트에 기록해둔 것이다. 그래서 압축된 표현이 많고, 단계를 왜 그렇게 구성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을 때도 많다.
    • 리팩터링을 안전하게 수행하려면 단계를 최대한 잘게 나누고 각 단계마다 테스트해야 한다.
    • 상황이 난해할수록 단계를 잘게 나누자.

  • 마지막의 예시는 해당 리팩터링 기법을 실제로 적용하는 간단한 예와 그 효과를 보여준다.

 

🤔 오늘 읽은 소감은? 떠오르는 생각을 가볍게 적어보세요.

  • 테스트 코드를 체크리스트처럼 사용한다는 점에서 공감이 많이 되었습니다.
    • 내가 구현한 혹은 리팩터링을 한 코드를 체크리스트로 점검을 하는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 본격적으로 리팩터링을 시작하기 전 카탈로그라 내용이 짧았다.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이 있다면 적어보세요.

  • 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