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자료

  • 백준 문제 큐(10845번) => 링크

 

 

 

✍ 공부하게 된 계기

알고리즘 문제에서 큐에대한 개념이 나왔는데, 조건문을 사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그런데 단순히 정답을 위해서 풀면 나중에 큐(Queue)관련 문제가 나올 때 제대로 풀 지 못할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좀 더 깊게 파보고 큐(Queue)를 직접 구현해보기로 했습니다.

자료구조를 공부하면서 정말 많은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 자바의 내부함수 구조를 직접 뜯어보고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계기
  • 단순히 자바에서 잘 구현되어있는 List를 계속 사용만 한다면 추상화되어있는 개념만 가질 수 있었을겁니다.
    그런데 '한번 구현해보면 어떨까?' 라는 생각으로 인해 자료구조에 더 친해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큐(Queue)란

  • 큐는 한국어로 "대기줄" 을 뜻합니다.
    => 그래서 큐를 설명하는 강의를 보면 줄서서 기다리는 사람들을 예시로 많이 설명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먼저 집어 넣은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FIFO(First In First Out)구조로 저장하는 형식을 말합니다.
  • 일렬로 늘어선 사람들로 이루어진 줄을 말하기도 하며, 먼너 주을 선 사람이 먼저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 구현한 소스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ringTokenizer st;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customQueue<Integer> customQueue = new customQueue<>();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ring command = st.nextToken();

            switch (command) {
                case "push":
                    customQueue.push(Integer.parseInt(st.nextToken()));
                    break;

                case "pop":
                    sb.append(customQueue.pop()).append("\n");
                    break;

                case "size":
                    sb.append(customQueue.size()).append("\n");
                    break;

                case "empty":
                    sb.append(customQueue.empty()).append("\n");
                    break;

                case "front":
                    sb.append(customQueue.front()).append("\n");
                    break;

                case "back":
                    sb.append(customQueue.back()).append("\n");
                    break;
            }
        }
        System.out.println(sb);
    }
}

class customQueue<T> {

    transient  Node<T> first;
    transient  Node<T> last;
    int size = 0;


    public void push(T e) {
        final Node<T> l = last;
        final Node<T> newNode = new Node<>(l, e, null);
        last = newNode;
        if (l == null)
            first = newNode;
        else
            l.next = newNode;
        size++;
    }

    public String pop() {
        if (size ==0) return "-1";
        final Node<T> f = first;
        final T element = f.item;
        final Node<T> next = f.next;
        f.item = null;
        f.next = null;
        first = next;
        if (next == null)
            last = null;
        else
            next.prev = null;
        size--;
        return element.toString();
    }

    public int size() {
        return size;
    }

    public int empty() {
        if (size == 0) return 1;
        else return 0;
    }

    public T front() {
        if (first == null) return (T) "-1";
        return first.item;
    }

    public T back() {
        if (last == null) return (T) "-1";
        return last.item;
    }


    private class Node<E> {
        E item;
        Node<E> next;
        Node<E> prev;

        Node(Node<E> prev, E element, Node<E> next) {
            this.item = element;
            this.next = next;
            this.prev = prev;
        }
    }
}

 

반응형

🔗 참고자료

  • 책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 Step] - 저자 박재성 => 링크

 

 

✍ 공부하게 된 계기

자바와 좀 더 친해지고 웹 개발에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싶었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도움을 받는 게 아닌, 직접 자바단에서 개발을 해서 Request를 날려보고,

스프링이 해주고 있던 일들을 조금 더 자세하게 알고 싶었습니다.

위와 같은 내용을 공부하기 위해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 Step]은 정말 좋은 책이라는 걸 느꼈습니다.

아직 3장까지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과제들이 있고 힌트들이 있습니다.

 

 

 

과제 구현한 깃허브 레포지토리 => 링크

 

 

 

1️⃣ 요구사항 1단계

 

과제: index.html 응답하기

  • http://localhost:8080/index.html로 접속했을 때 webapp 디렉토리의 index.html 파일을 읽어 클라이언트에 응답한다.

 

1차로 구현한 소스코드

// ...생략...
public class RequestHandler extends Thread {

// ...생략...
    public void run() {
        log.debug("New Client Connect! Connected IP : {}, Port : {}", connection.getInetAddress(),
                connection.getPort());

        try (InputStream in = connection.getInputStream(); OutputStream out = connection.getOutputStream()) {

            InputStream inputStream = new FileInputStream("webapp/index.html");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inputStream));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String tempStr;
            while ( (tempStr = br.readLine()) != null ) {
                sb.append(tempStr + "\r\n");
            }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out);
            response200Header(dos, sb.toString().getBytes().length);
            responseBody(dos, sb.toString().getBytes());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생략...
}

 

index.html은 아래의 캡처사진처럼 출력이 완료되었습니다.
하지만 index.html로 접속 했을 때 해당 index.html이 출력되도록은 아직 구현 안 했습니다.

 

 

 

처음에 CSS가 적용이 안돼서 뭔가 문제가 있는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크롬 개발자 도구함을 열어보니까 css파일(styles.css)은 정상적으로 불러와지고 있었습니다(아래 사진).

 

 

 

 

최종적으로 구현한 소스코드

    public void run() {
        log.debug("New Client Connect! Connected IP : {}, Port : {}", connection.getInetAddress(),
                connection.getPort());

        try (InputStream in = connection.getInputStream(); OutputStream out = connection.getOutputStream()) {

            InputStreamReader inputStreamReader = new InputStreamReader(in);
            BufferedReader bufferedReader = new 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

            String line = bufferedReader.readLine();

            if (line == null) { return; }


            String[] tokens = line.split(" ");

            String url = tokens[1];

            log.debug("connect URL : {}", url );

            byte[] bytes = Files.readAllBytes(new File("./webapp" + url).toPath());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out);
            response200Header(dos, bytes.length);
            responseBody(dos, bytes);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비록 힌트를 보고 했지만, localhost:8080/index.html 접속할 때 해당 파일이 불러와지도록 구현했습니다.
  • InputStreamReader를 통해 소켓의 InputStream을 읽었습니다.
  • InputStreamReader로 읽은 것을 BufferedReader 클래스 객체 생성 시 생성자에 집어넣습니다.
  • bufferedReader.readLine()을 통해 HTTP 요청 첫 번째 라인을 읽어 String 자료형 line 변수에 할당한다.
    => 첫번째 라인에 HTTP method와 요청 url이 담겨있다.
    ex) GET /index.html HTTP/1.1
  • line 변수를 split 함수를 사용해서 공백을 기준으로 나눠 String 배열인 tokens 변수에 할당합니다.
  • tokens 변수의 [1] 번째 인덱스에 있는 요청 URL만 String 자료형 url 변수에 할당합니다.
  • 요청 URL를 한번 로그로 띄어봅니다. =>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URL 모니터링용
  • Files와 File 클래스를 사용해서 ./webapp 경로에 있는 파일들을 byte[] 형식으로 전부 읽어옵니다.
  • 읽어온 bytes 값을 DataOutputStream 클래스를 사용해 write 합니다.

 

 

정리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InputStream에 받고 InputStreamReader로 읽습니다.

BufferedReader를 사용해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한줄씩 읽습니다.

받은 HTTP 리퀘스트 메시지 내용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실행하여 Outputstream과 DataOutputStream을 사용해서
응답 메시지를 만들고, wrtie를 통해 이것을 클라이언트에 반송합니다.

 

 

 

구현하면서 느낀 점

  • 소켓을 연결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HTTP Request, Response를 주고받는 과정을 알게 되었습니다.
  • 다양한 입출력 클래스를 알게 되었고 아직 입출력에 대해 모르는 게 많다는 걸 느꼈습니다.
  • 힌트를 봤지만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 힌트를 읽고서도 그걸 코드로 구현하지 못함
    => 계속 고민하면서 구현하다가 신기하게도 조금 쉬고 다시 코드를 보니까 쉽게 해결이 되었습니다.

 

 

2️⃣ 요구사항 2단계

GET 방식으로 회원가입하기

  • "회원가입" 메뉴를 클릭하면 http://localhost:8080/user/form.html으로 이동하면서 회원가입할 수 있다.
  • 회원가입을 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서버에 전달된다.
    /user/create?userId=javajigi&password=password&name=Gaemi&email=gaemi@daum.net
  • HTML과 URL을 비교해 보고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파싱(문자열을 원하는 형태로 분리하거나 조작하는 것을 의미)해
    model.user 클래스에 저장한다.

 

 

구현한 소스코드

 

RequestHandler 클래스 run() 메소드

public void run() {
        log.debug("New Client Connect! Connected IP : {}, Port : {}", connection.getInetAddress(),
                connection.getPort());

        try (InputStream in = connection.getInputStream(); OutputStream out = connection.getOutputStream()) {

            InputStreamReader inputStreamReader = new InputStreamReader(in, "UTF-8");
            BufferedReader bufferedReader = new 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

            String line = bufferedReader.readLine();

            if (line == null) { return; }

            String[] tokens = line.split(" ");

            String uri = tokens[1];

            if (userSignupCheck(uri)) return;

            log.debug("connect URL : {}", uri);

            Path path = Paths.get("./webapp", uri);

            if (! Files.exists(path)) {
                log.debug("Path : {} not exists", path);
                return;
            }

            File file = path.toFile();
            path.isAbsolute();

            String fileExtension = FilenameUtils.getExtension(file.getName());
            byte[] bytes = Files.readAllBytes(file.toPath());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out);
            response200Header(dos, bytes.length, fileExtension);
            responseBody(dos, bytes);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if (userSignupCheck(uri)) return;
    userSignupCheck() 메소드로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파싱 및 저장합니다.

 

 

RequestHandler 클래스 userSignupCheck() 메소드

 private static boolean userSignupCheck(String uri) {
        if (uri.contains("/create")) {

            String userInfoQueryString = uri.split("\\?")[1];

            UserService userService = new UserService();
            userService.signupUser(userInfoQueryString);

            return true;
        }
        return false;
    }
  • /user/create?userId=gaemi&password=1234&name=Gaemi&email=gaemi@daum.net
    사용자가 입력한 값은 위와 같이 서버에 전달된다.
  • uri에 /create가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한다.
    => 포함되어 있으면 split() 메소드를 사용해서 "?" 를 기준으로 나눕니다.
    => 나눈 값에서 유저 정보가 담긴 queryString 값만 String 자료형인 userInfoQueryString 변수에 저장합니다.
  • 저장된 값을 UserService 클래스의 signupUser() 메소드를 실행시킵니다.

 

 

 

UserService클래스

public class UserService {

    public boolean signupUser(String userInfoqueryString) {

        Map<String, String> userInfo = HttpRequestUtils.parseQueryString(userInfoqueryString);

        String userId = userInfo.getOrDefault("userId", "");
        String password = userInfo.getOrDefault("password", "");
        String name = userInfo.getOrDefault("name", "");
        String email = userInfo.getOrDefault("email", "");

        User user = new User(userId, password, name, email);

        DataBase.addUser(user);

        return true;
    }
}
  • RequestHandler 클래스에 회원가입 로직을 추가하는 것보다는 분리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서
    UserService를 만들어서 분리를 했습니다.
  • 저자인 자바지기님이 미리 만들어놓으신 HttpRequestUtils 클래스의 parseQueryString() 메소드를 사용해서,
    쿼리 스트링의 값을 분리 "&" 기준으로 분리를 해서 Map<String, String>을 리턴 받습니다.
  • 리턴 받은 값을 userInfo 객체에 할당하고 유저의 정보를 각 String 변수에 할당합니다.
    => 여기서 유저가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빈 문자열을 집어넣도록 했습니다.
    => 참고로 유저 정보 중에 빈 값 관련 처리를 아직 안 했습니다.
  • 입력받은 유저 정보를 바탕으로 User 객체를 생성합니다.
  • 저자인 자바지기님이 만들어놓은 DataBase 클래스 addUser() 메소드를 사용해서 저장합니다.

 

 

구현하면서 느낀 점

  •  예외 처리를 제대로 안 해놔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 책에서 다음 과제가 GET 방식이 아닌 POST 방식으로 값을 받아온다. 그때는 더 견고하게 코드를 짤 예정입니다.
  • 과제를 진행하면 할수록 코드가 조금 더러워지고 있습니다.
    => 리팩터링은 틈틈이 계속 진행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다른 사람들이 제출한 코드를 직접 보고 나의 코드를 보완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3️⃣ 4️⃣ 요구사항 3, 4

POST 방식으로 회원가입하기

  • http://localhost:8080/user/form.html 파일의 form 태그 method를 get에서 post로 수정한 후 
    회원가입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한다.

 

더보기

구현한 소스코드

RequestHandler 클래스의 run() 메소드

    public void run() {
        log.debug("New Client Connect! Connected IP : {}, Port : {}", connection.getInetAddress(),
                connection.getPort());

        try (InputStream in = connection.getInputStream(); OutputStream out = connection.getOutputStream()) {

            InputStreamReader inputStreamReader = new InputStreamReader(in, "UTF-8");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

            ArrayList<String> httpHeaderList = new ArrayList<>();

            String line;
            while ( !(line = br.readLine()).equals("") ) {
                httpHeaderList.add(line);
            }

            String firstHttpHeader = httpHeaderList.get(0);

            if (firstHttpHeader == null) { return; }

            String[] tokens = firstHttpHeader.split(" ");

            String httpMethod = tokens[0];
            uri = tokens[1];
            statusCode = "200";
            description = "OK";


            if (httpMethod.equals("POST")) {

                int contentLength = Integer.parseInt(httpHeaderList.get(3).split(" ")[1]);
                String userInfoQueryString = IOUtils.readData(br, contentLength);

                uri = userSignupCheck(userInfoQueryString);
                statusCode = "302";
                description = "Redirection";

            } else if (httpMethod.equals("GET")) {

                if (uri.contains("/create")) {
                    String userInfoQueryString = uri.split("\\?")[1];
                    uri = userSignupCheck(userInfoQueryString);
                }
            }



            log.debug("connect URL : {}", uri);

            Path path = Paths.get("./webapp", uri);

            // ToDo : 해당 파일이 없으면 에러 페이지로 이동되도록 구현 필요
            if (! Files.exists(path)) {
                log.debug("Path : {} not exists", path);
                return;
            }

            File file = path.toFile();
            path.isAbsolute();

            String fileExtension = FilenameUtils.getExtension(file.getName());
            byte[] bytes = Files.readAllBytes(file.toPath());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out);
            response200Header(dos, bytes.length, fileExtension);
            responseBody(dos, bytes);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HttpHeader의 값을 각 라인별로 ArrayList<String>에 저장했습니다.
  • ArrayList에서 0번째 인덱스의 값을 " " 을 기준으로 나눠 int 배열인 tokens[] 에 할당한다.
  • Http Header 첫 줄에서 uri와 HttpMethod 문자열을 저장합니다.
  • Response로 보낼 statuscode와 description에 값을 넣습니다.
  • 여기서 HttpMethod의 문자열이 POST인지 GET인지 확인하는 조건문을 넣어놨다.
    => POST이면 HttpHeader에 있는 ContentLength 값을 찾아서 int 변수에 할당한다.
    * Body의 값을 어떻게 가져올까 계속 고민했었는데 저자인 자바지기님이 구현한 함수를 사용하면 됐었다.
    IOUtils클래스의 readdata() 메소드를 사용해서 body의 값을 파싱한다.
  • 받아온 Body의 값을 userSignupCheck() 함수에 인자로 넣고 userService클래스의 signupUser() 메소드로 DB에 저장
  • 완료가 되면 redirect url인 index.html의 값을 받아와 uri 변수에 할당한다.
  • Response를 보낼 때 Http Header에 담을 status code와 description 값을 할당한다.
    => 여기서 redirect를 하기 위해서는 status code에 302를 넣어줘야 한다. => 위키
    => Description에 Redirection 문자열을 넣어준다.

 

 

RequestHandler 클래스의 response200Header() 메소드

    private void response200Header(DataOutputStream dos, int lengthOfBodyContent, String fileExtension) {
        try {
            dos.writeBytes("HTTP/1.1 " + statusCode + " " + description + "\r\n");
            dos.writeBytes("Content-Type: text/" + fileExtension + ";charset=utf-8\r\n");
            dos.writeBytes("Content-Length: " + lengthOfBodyContent + "\r\n");

            if (statusCode.equals("302")) {
                dos.writeBytes("Location: " + uri);
            }
            dos.writeBytes("\r\n");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위와 같이 statusCode가 302이면 Location 값을 추가했다.
    ex) redirect 할 uri가 추가된다 => index.html

 

 

RequestHandler 클래스의 userSignupCheck() 메소드

    private static String userSignupCheck(String userInfoQueryString) {
        UserService userService = new UserService();
        return userService.signupUser(userInfoQueryString);
    }
  • GET과 POST 메소드에도 사용하기 위해 userSignupCheck() 함수의 라인수가 줄어들었다.

 

 

구현하면서 느낀 점

  • 리팩터링을 제대로 안 하고 구현만하고 있어서 코드가 점점 더러워지고 있다.
    => 다음 과제를 하기 전에 리팩터링을 하는 시간을 한번 가지자.
  • HTTP 책을 제대로 읽었다고 생각했지만 모르는 게 너무 많았다.
    => HTTP Header에 들어있는 값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 수 있도록 책을 한번 더 읽어보자.
  • response200Header에 302를 처리하는 로직이 들어가 있다.
    => 분리를 꼭 하자.
    => 함수를 분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중복되는 코드가 꽤 많아졌다. 리팩터링을 꼭 하자.

 

 

리팩터링한 소스코드

*저자인 자바지기님이 작성한 코드를 참고해서 코드가 거의 비슷합니다.

 

ReuqestHandler 클래스의 run() 메소드

// ... 생략 ...
InputStreamReader inputStreamReader = new InputStreamReader(in, "UTF-8");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inputStreamReader);

String requestLine = br.readLine();

if (requestLine == null) return;

log.debug("request line : {}", requestLine);

String[] tokens = requestLine.split(" ");
String uri = getDefaultUrl(tokens[1]);

int contentLength = 0;
boolean logined = false;
while (!requestLine.equals("")) {
    requestLine = br.readLine();
    log.debug("header : {} ", requestLine);

    if (requestLine.contains("Content-Length")) {
        contentLength = getContentLength(requestLine);
    }

    if (requestLine.contains("Cookie")) {
        logined = isLogin(requestLine);
    }
}

if ("/user/create".equals(uri)) {
    String body = IOUtils.readData(br, contentLength);
    Map<String, String> userInfo = HttpRequestUtils.parseQueryString(body);
    User user = new User(userInfo.get("userId"), userInfo.get("password"),
            userInfo.get("name"), userInfo.get("email"));
    DataBase.addUser(user);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out);
    response302Header(dos);
    
 // ... 생략 ...
  • 클라이언트의 Request에 첫 줄만 BufferReader로 읽어온다.
    => 여기서 첫 줄이 null이면 run() 메서드를 종료한다.
  • Http Request 첫 라인에서 uri만 String 변수에 할당합니다.
  • while문을 사용해서 BufferdReader에 있는 request가 빈 문자열이 나올 때까지 읽습니다.
    => "Content-Length"가 포함된 문자열은 getContentLength() 메서드를 사용해 값을 int 자료형에 할당합니다.
    => "Cookie"가 포함된 문자열은 로그인 여부를 확인하는 isLogin() 메서드를 사용해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합니다.
  • uri가 "/user/create"와 같은지 확인합니다.
    => 같으면 자바지기 저자가 만들어놓은 IOUtils.readData() 메서를 사용해서 body의 값을 읽어 String 변수에 할당
    => 자바지기 저자가 만들어놓은 HttpRequestUtils.parseQueryString()을 사용해서 body값에서 request에 담긴 유저정보를 Map<String, Strin> 자료형에 할당합니다.
    => userInfo에 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User 객체를 만들고 저자가 만들어놓은 임시 DataBase에 추가합니다.(인메모리)
  • DataOutputStream의 객체를 만들어서 response302Header() 메서드의 인자에 넣습니다.

 

 

RequestHandler 클래스의 getContentLength() 메소드

private int getContentLength(String requestLine) {
    String[] contentLengthLine = requestLine.split(":");
    return Integer.parseInt(contentLengthLine[1].trim());
}

 

  • Content-Length 개체가 담긴 문자열을 ":" 기준으로 split 한다.
    ex) Content-Length: <length>
  • split해서 할당된 문자열의  1번째 인덱스에 있는 값을 trim 해주고 int형으로 파싱해서 리턴한다.

 

 

 

RequestHandler 클래스의 response302Header() 메소드

private void response302Header(DataOutputStream dos) {
    try {
        dos.writeBytes("HTTP/1.1 302 Redirect \r\n");
        dos.writeBytes("Location: /index.html \r\n");
        dos.writeBytes("\r\n");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Redirect를 하기 위한 헤더를 세팅한다.
  • Location에 Redirect를 할 uri를 추가한다.

 

 

 

리팩터링하면서 느낀점

  • 다른 사람이 구현한 코드를 보고 분석하는것도 엄청 중요하다는걸 한번 더 느꼈습니다.
  • 저자가 최대한 깔끔하게 작성한 코드이지만,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 run 메소드가 점점 방대해 질 수 밖에 없는 구조
    => 조건문이 계속 늘어나고 나중에 리팩터링 하거나 기능을 수정하기 너무 힘들어진다.
    => 하드코딩하는 부분이 늘어날 수 밖에 없다.
  • 남이 구현한 코드를 갔다가 사용했어도 해당 코드를 직접 뜯어보고 글로 작성해보자.

 

 

 

 

 

5️⃣ 요구사항 5단계

로그인하기

  • "로그인" 메뉴를 클릭하면 http://localhost:8080/user/login.html으로 이동해 로그인할 수 있다.
  • 로그인이 성공하면 /index.html로 이동하고, 로그인이 실패하면 /user/login_failed.html로 이동해야 한다.
  • 앞에서 회원가입한 사용자로 로그인할 수 있어야 한다.
  • 로그인이 성공 하면 쿠키를 활용해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 로그인이 성공할 경우 요청 헤더의 Cookie 헤더 값이 logined=true,
    로그인이 실패하면 Cookie 헤더 값이 logined=false로 전달되어야 한다.

 

 

구현한 소스코드

Requesthandler 클래스의 httpMethodCheck() 메소드

    private void httpMethodCheck(
            String httpMethod,
            ArrayList<String> httpHeaderList,
            BufferedReader br
    ) throws IOException {

        if (httpMethod.equals("POST")) {

            int contentLength = Integer.parseInt(httpHeaderList.get(3).split(" ")[1]);
            String userInfoQueryString = IOUtils.readData(br, contentLength);

            if (uri.contains("/user/login")) {

                if (userService.userLogin(userInfoQueryString)) {
                    uri = "/index.html";
                    cookie = "Set-cookie: logined=true";
                } else {
                    uri = "/user/login_failed.html";
                    cookie = "Set-cookie: logined=false";
                }
            } else {
                uri = userService.signupUser(userInfoQueryString);
            }
            statusCode = "302";
            description = "Redirection";

        } else if (httpMethod.equals("GET")) {
            statusCode = "200";
            description = "OK";

            if (uri.contains("/create")) {
                String userInfoQueryString = uri.split("\\?")[1];
                uri = userService.signupUser(userInfoQueryString);
            }
        }
    }

 

  • 클라이언트에서 request를 POST method로 서버로 보낼 때 /user/login URI이면 로그인 로직을 처리하도록 했습니다.
  • "Set-cookie: key=value" 문자열을 클라이언트에게 Response를 보낼 때 헤더에 담아서 보냅니다.
  •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index.html 페이지로 redirect 되도록 했습니다.
  • 로그인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으면 /user/login_failed.html로 redirect 되도록 했습니다.

 

 

UserService 클래스의 userLogin() 메소드

    public boolean userLogin(String userInfoQueryString) {

        Map<String, String> userInfo = HttpRequestUtils.parseQueryString(userInfoQueryString);

        String userId = userInfo.getOrDefault("userId", "");

        User user = DataBase.findUserById(userId);

        if (user == null) {
            return false;
        }

        return true;
    }
  • 로그인을 처리하는 로직을 Service 레이어에 따로 분리해놨습니다.
    => 분리를 해서 RequestHandler의 코드가 좀 줄어들기는 했는데 여러가지 에로사항이 있었습니다.
    * 구현하면서 느낀점에 에로사항 정리

 

 

구현하면서 느낀 점

  • 스프링에서는 Service, Controller 분리가 어렵지 않았었습니다.
    이렇게 분리 처리를 하는 것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많은 것들을 대신 해준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 스프링과 같은 아키텍쳐로 분리를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 지금은 RequestHandler의 코드가 너무 길어지고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 아직은 코드가 많이 더러운데 하나씩 리팩토링을 하면서 바꿔갈 예정입니다.
  • 조건문(if)을 너무 많이 사용하게 되고 가독성을 떨어트리는 것 같습니다.
    => 책에도 적혀있는 내용처럼 else()를 사용하지 않고 구현하는 방식으로 진행해볼 예정입니다.
  • 아직 많이 부족한게 많지만 그래도 구현이 되어서 신기했습니다.
    그리고 기존에는 이해가 안되었던 MVC의 아키텍쳐에 대해서 점점 알아가게 되었습니다.

 

 

 

6️⃣ 요구사항 7단계

사용자 목록 출력

  • 접근하고 있는 사용자가 "로그인" 상태일 경우(Cookie 값이 logined=true) http://localhost:8080/user/list로 접근 했을 때
    사용자 목록을 출력한다.
    => 만약 로그인 하지 않은 상태라면 로그인 패이지(login.html)로 이동한다.

 

 

구현한 소스코드

RequestHandler 클래스 httpMethodCheck 메소드

    private void httpMethodCheck(
            String httpMethod,
            Map<String, String> httpHeaderMap,
            BufferedReader br
    ) throws IOException {
    
    // ... 생략 ...
    
        } else if (httpMethod.equals("GET")) {
            statusCode = "200";
            description = "OK";

            if (uri.contains("/create")) {
                String userInfoQueryString = uri.split("\\?")[1];
                uri = userService.signupUser(userInfoQueryString);
            } else if (uri.contains("/list.html")) {
                Map<String, String> cookies= HttpRequestUtils.parseCookies(httpHeaderMap.get("Cookie"));
                boolean isLogin = Boolean.parseBoolean(cookies.get("logined"));

                if (!isLogin) {
                    statusCode = "302";
                    description = "Redirection";
                    uri = "/index.html";
                }

            }
        }
    }
  • httpHeader에서 Cookie의 값을 저자인 자바지기님이 만든 HttpRequestUtils 클래스의 parseCookies 메소드를 사용해 파싱한다.
  • 파싱한 값은 Map<String, String> 으로 리턴 받는다.
  • 리턴 받은 값에서 key "logined"의 value를 가져와 boolean 자료형으로 파싱한다.
  • 파싱한 boolean 값으로 로그인 여부를 확인한다.
  • 로그인이 되어있지 않으면 /index.html 로 리다이렉트 시킨다.

 

 

구현하면서 느낀 점

  • 구현을 하는데 시간이 꽤 적게 소요되었습니다.
  • 요구사항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아서 쉽게 끝낼 수 있었습니다.
    => 저자인 자바지기님이 cookie 값을 파싱하기 쉽도록 미리 구현해 놓은게 있어서 더욱 쉬웠습니다.
  • httpHeader의 값을 Map 자료형으로 파싱하는 방식으로 리팩터링을 진행했습니다.
    => 아직 RequestHandler의 코드가 너무 복잡하고 결합도가 너무 높습니다.
    => 과제 완료 후 리팩터링을 우선으로 진행 예정

 

 

 

7️⃣ 요구사항 7단계

CSS 지원하기

  • 지금까지 구현한 소스코드는 CSS 파일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CSS 파일을 지원하도록 구현한다.

 

 

구현한 소스코드

 

RequestHandler 클래스 Run() 메서드

public void run() {
    // ... 생략 ...
        } else if (uri.endsWith(".css")) {
            responseCssResource(out, uri);
        } else {
            responseResource(out, uri);
        }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 생략 ...
  • 요청 uri의 확장자가 .css 이면 responseCssResource() 함수가 실행된다.

 

ReqiestHandler 클래스 responseCssResource() 메서드

private void responseCssResource(OutputStream out, String url) throws IOException {
    DataOutputStream dos = new DataOutputStream(out);
    byte[] body = Files.readAllBytes(new File("./webapp" + url).toPath());
    response200CssHeader(dos, body.length);
    responseBody(dos, body);
}
  • webapp 폴더에 있는 css 파일의 바이트 배열로 읽어서 헤더와 바디에 넣어주고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낸다.

 

 

RequestHandler클래스 response200CssHeader() 메서드

private void response200CssHeader(DataOutputStream dos, int lengthOfBodyContent) {
    try {
        dos.writeBytes("HTTP/1.1 200 OK \r\n");
        dos.writeBytes("Content-Type: text/css;charset=utf-8 \r\n");
        dos.writeBytes("Content-Length: " + lengthOfBodyContent + "\r\n");
        dos.writeBytes("\r\n");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e.getMessage());
    }
}
  • 위와 같은 양식으로 header 내용을 write한다.

 

 

 

구현하면서 느낀 점

  • 생각보다 빨리 구현해서 놀랐습니다.
  • 사전에 네트워크 관련 공부를 한게 크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 책 [그림으로 배우는 HTTP & Network] => yes24링크
  • 2단계를 먼저 진행해야 하는데 CSS를 꼭 적용해보고 싶어서 7단계로 훌쩍 넘어와버렸습니다.
    앞에 구현하는 것과 크게 영향이 없어보여서 다행이였습니다.

 

 

 

8️⃣ 과제를 하면서 궁금한 것들

 

 

❓ Content-Length를 넣는 이유는

  • Content-Length는 수신자에게 보내지는, 바이트 단위를 가지는 개체 본문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 DataOutputStream이란

 

 

반응형

🔗 참고자료

  • 블로그 <Wonit> String과 String Constant Pool => 링크
  • 블로그 <doohong's blog> 자바의 기본 개념 정리-4.String pool => 링크

 

✍ 공부하게 된 계기

'자바의신' 이라는 책을 읽고 String에 대한 챕터를 읽다가 위의 내용들이 나왔습니다.

이번에 자바를 좀 더 깊게 공부하기 위해 모르는 단어를 직접 찾아보고 정리하기로 했습니다.

단어에 대해서 찾다보면 부가적으로 배우는 것들도 많아서 꼭 해야할 것들이라고 생각합니다.

 

 

 

String은 immutable(불변) 타입

String 객체의 값은 변경할 수 없다.

String text = "my Text";
text = "my new Text";

위 예제와 같이 String 자료형인 text 변수를 최초로 "my Text"로 할당했다.

그 다음줄을 보면 text 변수에 "my new Text" 값을 변경 시킨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는 메모리에 "my new Text" 를 다시 만들고 text를 다시 참조하게 된다.

 

  • 자바에서 String은 constant 형태로 한 번 생성이 된다면 update 라는 개념이 사라진다.
  • 값을 수정할려고 하면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고 그 값을 재할당해야 한다.

 

 

 

자바에서 String을 immutable 하게 한 이유 3가지

  • 캐싱
    JVM이 String Constant Pool 이라는 영역을 만들고 문자열들을 Constant화 하여 다른 변수 혹은 객체들과 공유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데이터 캐싱이 일어나고 그 만큼 성능적 이득을 취할 수 있다.

  • 동기화
    데이터가 immutable 하다면 Multi-Thread 환경에서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 safe한 결과를 낸다.

  • 보안(Security)
    여러 참조 변수가 같은 String 객체를 참조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안전하다.
    String 객체를 누가 조작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원본 String 객체가 저장된 주소 자체를 넘겨도 안전하다.
    전달받은 곳에서 원본 값을 직접 읽을수 있으나 조작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데이터베이스로 유저의 id나 비밀번호를 전송할 때 String 변수가 제 3자(해커)가 변경하지 못하도록 한다.

 

 

❓ String pool이란?

  • String은 재사용을 고려해서 Heap 영역에 내에 문자열 상수의 Pool 을 유지한다.
  • 해당 Pool로 사용자가 정의한 변수가 가지고 있는 value 들을 담게 된다.
  • String Constant Pool 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Literal을 이용해 생성해야 한다.
    new 연산자를 통해 String을 생성하면 Heap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리터럴을 이용할 경우 String constant pool 이라는 영역에 존재하게 된다.

 

 

 

String pool의 위치

  • java 6 버전까지는 Perm 영역에 있었다.
    - Perm 영역은 고정된 사이즈이며 Runtime에 사이즈가 확장되지 않는 문제 발생
  • intern 되는 String 값이 커지면 OutOfMemoryException을 발생시킬 수 있었고,
    그에 따라서 java7 버전은 Heap 영역으로 String pool의 위치를 변경하였다.
반응형

 

❓ 해당 내용이 궁금해진 이유?

현재 금융권 대기업에 파견을 나가있는데 파일을 전송할 때 Base64로 변환을 해서 전송을 하고 있었습니다.

여기서 왜 굳이 Base64로 변환해서 전송을 하는지에 대해서 궁금해졌습니다.

 

  • 인코딩, 디코딩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굳이 사용하는 이유는 뭘까?
  • Base64로 변환하면 용량이 30퍼센트 정도 늘어나 비효율적이지 않나?
  • multipart/form-data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뭘까?

 

 

❓ 굳이 Base64로 인코딩 하는 이유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기반의 규격으로 다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밎 파일등을 Web에서 필요로 할 때 Base64로 인코딩하면 UTF-8과 호환 가능한 문자열을 얻을 수 있다.

 

기존 ASCII 코드는 시스템간 데이터를 전달하기에 안전하지 않다. 모든 Binary 데이터가 ASCII 코드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제대로 읽지 못한다. 반면 Base64는 ASCII 중 제어문자와 일부 특수문자를 제외한 53개의 안전한 출력 문자만 이용하므로 데이터 전달에 더 적합하다.

 

위 내용을 보면 용량이 30 ~ 33퍼센트 증가해도 안정성을 위해 Base64 인코딩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multipart/form-data를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위 의문에 대해서는 정확한 의도는 모르지만 아래와 같은 이유가 있지 않을까 정의해봤습니다.

Base64로 인코딩된 텍스트에 Header와 Tailer 양식을 만들어 정보를 담아서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파일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게 해놓는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봤습니다.

 

 

 

❓ Base64는 암호화이다?

Base64를 사용 하는 이유에서 암호화이기 때문이라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여러 블로그를 확인해본결과 암호화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고 단순히 인코딩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좀 더 깊게 찾아보기 위해 스택오버플로우(Stack Overflow)와 쿼라(Quora)에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그 결과 Base64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출력 가능한 문자로 나타내기 위한 인코딩이라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생각해보면 Base64가 나열된 문자는 디코딩을 하기 전까지는 읽기 힘들다는 것 밖에 없었습니다.

암호화가 되어 있었다고 하면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있을텐데 그런 것도 없었습니다.

 

단순히 해당 텍스트가 Base64 형식이라는 것을 알게되면 누구나 쉽게 디코딩이 가능하기 때문에 암호화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 위 내용을 작성하면서 내가 부족하다고 느낀 부분

  • multipart/form-data를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사용했지만 해당 내용에 대해 거의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다.
  • 어떤 방식으로 파일을 전송하는게 좀 더 효율적일지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그동안 코드를 작성한 점.
  • Base64 인코딩에 대해 너무 두루뭉실하게 알고 있었다.
  • 지금까지 구현한 것에 대해 궁금점을 가지지 않고 그냥 코드를 작성하고 있었다.
    => 깊이가 없는 상태

 


참고자료

  • [OKKY] Base64는 왜 사용하는 걸까요? => 링크
  • [Stack Overflow] Why do we use Base64? => 링크
  • [Stack Overflow] is Base64 Encryption? => 링크
  • [Quora] is Base64 encoding secure? => 링크
  • [블로그 코딩배우는 학생] 우리가 Base64를 사용하는 이유 => 링크
반응형

 

 

구현하게된 계기 및 이유

현재 회사에서 금융권에 파견을 가있는 상황인데 각 증권사로 보내는 PDF파일들을 Tar로 묶어서 전송하라는 요청이 왔습니다.

아쉽게도 Tar로 묶어서 전송을 하라는 이유는 정확히 듣지 못하고 요청만 들어온 상황이라 구현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리눅스 환경에서 파일을 압축해서 전송하기 위해서 Tar 압축 형식을 사용한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윈도우에서는 zip파일형식이 있다면 리눅스는 Tar파일형식이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리눅스에서 Tar 명령어를 사용해 압축이 가능하지만 서버쪽에서 자바 코드로 구현을 해야 했기 때문에 자바로 구현했습니다.

 

 

 

사용한 라이브러리

 

 

 

소스코드

import org.apache.commons.compress.archivers.tar.TarArchiveEntry;
import org.apache.commons.compress.archivers.tar.TarArchiveOutputStream;
import org.apache.commons.io.IOUtils;

import java.io.*;

public class CompressToTar {

	// 타르 압축 함수를 실행 할 메인 메서드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compressToTar();
    }


	
    private static void compressToTar() throws Exception {
		
        // 타르 파일 생성 경로를 입력해주세요.
        String tarOutputPath = "타르파일 생성 경로";

        try {
        	// 찹축할 파일이 있는 경로를 입력해주세요.
            File inputFilePath = new File("압축할 파일이 있는 경로");

			// 필터를 통해 원하는 파일 형식 및 파일들만 배열로 파일리스트로 가져옵니다.
            File[] pdfFileArray = inputFilePath.listFiles(new FilenameFilter() {
                @Override
                public boolean accept(File dir, String name) {
                    return name.endsWith("압축할 파일들의 파일명 패턴");
                }
            });


             if (pdfFileArray.length != 0) {
             
             	// 생설할 타르 파일명과 .tar 확장자를 꼭 붙여주세요.
                File tarOutputFile = new File(tarOutputPath, "test.tar");

                FileOutputStream fOut = new FileOutputStream(tarOutputFile);
                BufferedOutputStream bOut = new BufferedOutputStream(fOut);
                TarArchiveOutputStream tOut = new TarArchiveOutputStream(bOut);


                for (File file : pdfFileArray) {
                    TarArchiveEntry tarArchiveEntry = new TarArchiveEntry(file, file.getName());
                    tarArchiveEntry.setModTime(0);
                    tarArchiveEntry.setSize(file.length());

					// tar아웃풋 스트림에 tar아카이브 엔트리 put
                    tOut.putArchiveEntry(tarArchiveEntry);
                    
                    // tar아웃풋 스트림을 통해 해당 파일 생성(write)
                    // -> 이때 IOUtils를 사용해서 해당 파일을 ByteArray로 변환합니다.
                    tOut.write(IOUtils.toByteArray(new FileInputStream(file)));

                    tOut.closeArchiveEntry();
                }

                tOut.flush();
                tOut.finish();
                tOut.close();
                bOut.close();
                fOut.close();
            } else {
                System.out.println("해당 폴더에 압축할 파일이 없습니다.");
            }

        } 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compress 에러 발생: " + e);
            throw new Exception(e);
        }

    }
}

* 위에 작성된 코드는 예시입니다. 참고만 하시고 더 견고한 코드를 작성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구현하면서 느낀점

구현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 기능이였습니다.

하지만 금융권 개발 환경이 생각보다 낮은 자바 버전을 사용해서, 호환이 되는 라이브러리를 찾는게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

이번에 구현하면서 이런 안좋은 개발환경에서도 차선책이 존재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검증된 라이브러리가 검색하면 엄청 많이 나오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못했지만,

계속 검색해보면 해당 라이브러리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이 있다는 것을 체감했습니다.

 

 

 

반응형

 

 

📚 참고자료

  • [10분 테코톡] 🌊 바다의 JUnit5 => 링크

 

1️⃣ JUnit이란?

  • 자바 개발자의 93%가 사용하는 단위 테스트 프레임워크
  • JUnit5는 2017년 10월 공개
  • 스프링 부트 2.2버전 이상부터 기본 제공

 

 

  • Platform : 테스트를 실행해주는 런처 제공. TestEngine API 제공
  • Jupiter : JUnit 5를 지원하는 TestEngine API 구현체
  • Vintage : Junit 4와 3을 지원하는 TestEngine 구현체

 

셋 다 JUnit5 세부 모듈이다

 

 

 

2️⃣ JUnit5 시작하기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 스프링 부트 2.2버전 이상부터는 기본적으로 JUnit5 의존성이 추가된다.

  •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가 아닐 경우
    => 다음과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주면 된다.
 <dependency>
 	<groupId>org.junit.jupiter</groupId>
    <artifactId>junit-jupiter-engine</artifactId>
    <version>5.6.2</version>
    <scope>test</scope>
 </dependency>

 

 

 

3️⃣ 어노테이션들(Annotaions)

 

@Test

  • 테스트 메서드라는 것을 나타내는 어노테이션
  • JUnit4와 다르게 어떠한 속성도 선언하지 않는다.
// JUnit4
@Test(expected = Exception.class)
void create() throws Exception {
	...
}

// JUnit5
@Test
void create() {
	...
}

 

생명주기(LifeCycle) 어노테이션

  • @BeforeAll : 해당 클래스에 위치한 모든 테스트 메서드 실행 전에 딱 한번 실행되는 메서드
  • @AfterAll : 해당 클래스에 위치한 모든 테스트 메서드 실행 후에 딱 한번 실행되는 메서드
  • JUnit4의 @BeforeClass / @AfterClass 와 유사

  • @BeforeEach : 해당 클래스에 위치한 모든 테스트 메서드 실행 전에 실행되는 메서드
  • @AfterEach : 해당 클래스에 위치한 모든 테스트 메서드 실행 후에 실행되는 메서드
  • JUnit4의 @Before / @After와 유사
  • 매 테스트 메서드마다 새로운 클래스를 생성(new)하여 실행 (비효율적)

 

 

@Disabled

  • 테스트를 하고 싶지 않은 클래스나 메서드에 붙이는 어노테이션
  • JUnit4의 @Ignore 과 유사
class DisabledExample {
	@Test
    @Disabled("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테스트 중단")
    void test() {
    	System.out.println("테스트");
    }
    
    @Test
    void test2() {
    	System.out.println("테스트2");
    }
}

 

 

@DisplayName

  • 어떤 테스트인지 쉽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어노테이션
  • 공백, Emoji, 특수문자 등을 모두 지원
@DisplayName("특수 테스트\uD83D\uDE00")
class DisplayNameExample {
	@Test
    @DisplayName("굉장한 테스트입니다.")
    void test() {
    }
}

 

 

 

@RepeatedTest

  • 특정 테스트를 반복시키고 싶을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 반복 횟수와 반복 테스트 이름을 설정가능
@RepeatedTest(10)
@DisplayName("반복 테스트")
void repeatedTest() {
	...
}

@RepeatedTest(value = 10, name = "{displayName} 중 {currentRepetition} of {totalRepetitions})
@DisplayName("반복 테스트")
void repeatedTest2() {
	...
}

 

 

@ParameterizedTest

  • 테스트에 여러 다른 매개변수를 대입해가며 반복 실행할 때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ParameterizedTest
@CsvSource(value = {"ACE,ACE:12", "ACE,ACE,ACE:13", "ACE,ACE,TEN:12"}, delimiter = ':')
@DisplayName("에이스 카드가 여러 개일 때 합 구하기")
void calculateCardSumWhenAceIsTwo(final String input, final int expected) {
	final String[] inputs = input.split(",");
    for (final String number : inputs) {
    	final CardNumber cardNumber = CardNumber.valueOf(number);
        dealer.receiveOneCard(new Card(cardNumber, CardType.CLOVER));
    }
    assertThat(dealer.calculateScore()).isEqualTo(expected);
}

 

 

 

 

@Nested

  • 테스트 클래스 안에서 내부 클래스 정의해 테스트를 계층화 할 때 사용
  • 내부클래스는 부모클래스의 멤버 필드에 접근가능
  • Before / After와 같은 테스트 생명주기에 관계된 메소드들도 계층에 맞춰 동작

 

 

Assertions

  • 사전적 의미: 주장, 행사, 단정문
  • 테스트 케이스의 수행 결과를 판별하는 메서드
  • 모든 Junit Jupiter Assertions는 static 메서드

 

 

Assertions - assertAll(executables...)

  • 매개변수로 받는 모든 테스트코드를 한 번에 실행
  • 오류가 나도 끝까지 샐행한 뒤 한 번에 모아서 출력
@Test
public void create_study() {
	Study study = new Study();
    assertNotNull(study);
    assertEquals(Status.STARTED, study.getStatus(), "처음 상태값이 DRAFT");
    assertTrue(study.getLimit() > 0, () -> "최대 인원은 0보다 커야한다.");
}

@Test
public void create_study() {
	Study study = new Study();
    assertAll(
    	() -> assertNotNull(study),
		() -> assertEquals(Status.STARTED, study.getStatus(), "처음 상태값 DRAFT"),
        () -> assertTrue(study.getLimit() > 0, "최대 인원은 0보다 커야한다.")
    );
}

 

 

 

Assertions - assertThrows(expectedType, executable)

  • 예외 발생을 확인하는 테스트
  • executable의 로직이 실행하는 도중 expectedType의 에러를 발생시키는지 확인
// JUnit4
@Test(expected = Exception.class)
void create() throws Exception {
	...
}

// JUnit5
@Test
void exceptionThrow() {
	Exception e = assertThrows(Exception.class, () -> new Test(-10));
    assertDoesNotThrow(() -> System.out.println("Do Something"));
}

 

 

Assertions - assertTimeout(duration, executable)

  • 특정 시간 안에 실행이 완료되는지 확인
  • Duration : 원하는 시간
  • Executable : 테스트할 로직
@Rule
public Timeout timeout = Timeout.seconds(5);

class TimeoutExample {
	@Test
    @DisplayName("타임아웃 준수")
    void timeoutNotExceeded() {
    	assertTimeout(ofMinutes(2), () -> Thread.sleep(10));
	}

	@Test
	@DisplayName("타임아웃 초과")
	void timeoutExceeded() {
		assertTimeout(ofMillis(10), () -> Thread.sleep(100));
	}
}

 

 

Assumption

  • 전제문이 true라면 실행, false라면 종료
  • assumeTrue : false일 때 이후 테스트 전체가 실행되지 않음
  • assumingThat : 파라미터로 전달된 코드블럭만 실행되지 않음
void dev_env_only() {
	assumeTrue("DEV".equals(System.getenv("ENV")), () -> "개발 환경이 아닙니다.");
    assertEquals("A", "A");	 // 단정문이 실행되지 않음
}

void some_test() {
	assumingThat("DEV".equals(System.getenv("ENV")),
    	() -> {
        	assertEquals("A", "B");  // 단정문이 실행되지 않음
        });
	assertEquals("A", "A");  // 단정문이 실행됨
}

 


느낀 점

  • 어노테이션을 단순히 적용하는 것이 아닌 좀 더 깊게 파고 들어가 공부 할 수 있도록 진행
  • 이론만 공부하면 확실히 해당 내용을 익힐 수 없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 정리를 하고 다음에 JUnit5를 사용할 때 이 글을 참고하면서 공부
반응형

 

- 자바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를 학습.

 

학습할 것

 

참고 자료

  • 블로그 [maru's 원자적 사고] => 링크
  • 블로그 [willy's blog] => 링크

* 공부를 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위 링크들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관계 연산자(Comparison Operators) 

  • 연관된 서로의 값들이 같은지 비교하거나, 넓게는 그 값보다 크거나 작음을 서로 비교하는 연산이다.
  • 두 가지 타입을 비교하게 된다면 결과 값은 true, false를 반환하게 된다.

 

 

 

연산자 기능
a < b a 가 b 보다 작은가?
a > b a 가 b 보다 큰가?
a <= b a 가 b 보다 작거나 같은가?
a >= b a 가 b 보다 크거나 같은가?
a == b a 와 b 가 같은가?
a != b a 와 b 가 다른가?

 

 

 '==' 연산자 (Equals Operators) 

  • 프리미티브 타입에 한해서 두 피연 사자의 값이 같으면 true, 아니면 false를 리턴한다.
    => 이는 프리미티브 타입에 한해서 'Value(값)'이 서로 같은지 비교를 한다.
    => 만약 프리미티브 타입이 아닌 '레퍼런스 타입'은 각 객체의 참조 주소를 비교하게 된다.
    결국 두 개의 값이 같은지 판단하는 게 아니라, 두 개의 주소가 같은지 판단하는 것이다.
    => 두 개의 String 변수가 있다면 '==' 연산자를 사용하면 주소가 같은지 비교하게 된다.

 

 

 '!=' 연산자 (Not Equals Operators) 

  • '!=' 연산자는 '==' 연산의 반개 개념이다.
  • 프리미티브 타입이 2개 있다면, 이 두 개의 값(Value)이 서로 다르다면 true를 반환하게 된다.
    => 반대로 같으면 false를 반환하게 됩니다.

 

 

 '<' 연산자 (Less than) 

  • 첫 번째 연산자가 두 번째 연산자보다 작으면 true를 반환한다.

 

 '<=' 연산자 (Less than equal) 

  • 첫 번째 연산자가 두 번째 연산자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를 반환한다.

 

 '>' 연산자 (Less than equal) 

  • 첫 번째 연산자가 두 번째 연산자보다 크다면, true를 반환한다.

 

 '>=' 연산자 (Less than equal) 

  • 첫 번째 연산자가 두 번째 연산자보다 같거나 크다면, true를 반환한다.

 

반응형

 

참고자료

  • 블로그[sohyun] - [JAVA] Converting MultipartFile to File => 링크
  • 블로그[진짜 개발자] - SpringMVC - Spring MVC 동작원리 => 링크
  • 블로그[코딩수첩] - Multipart란? => 링크
  • 블로그[dk22.log] - Spring MVC (15) 파일 업로드1 => 링크
  • 자바의정석(저자 남궁성)

 

 Multipart란? 

  • 웹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낼 때, HTTP 프로토콜바디 부분에 데이터를 여러 부분으로 나눠서 보내는 것입니다.
  • 웹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파일을 업로드할 때, http 프로토콜의 바디 부분에 파일정보를 담아서 전송을 하는데,
    파일을 한번에 여러개 전송을 하면 body 부분에 파일이 여러개의 부분으로 연결되어 전송됩니다.
    이렇게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서 전송되는 것은 Multipart data라고 합니다.
  • 보통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Multipart/form-data란? 

  • 일반적으로 폼 데이터를 전송하면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의 형식으로 전송됩니다.
    => HTTP body 에 바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들어가는 형태입니다.
    => 예시로 name=lim&age=25 과 같은 key-value 쌍이 body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렇게 동일한 타입의 문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 key-value 형태의 문자데이터와 바이너리 형태의 파일 데이터가 함께 전송되는 것은 다릅니다.
    =>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타입으로는 전송이 어렵습니다.
    => 여기서 multipart/form-data로 지정되고 정해진 형식에 따라 메시지를 인코딩해 전송합니다.
    => 이를 처리하기 위해 서버는 멀티파트 메시지에 대해서 각 파트별로 분리하여 개별 파일의 정보를 얻게 됩니다.
    * 이미지 파일도 문자로 이뤄져 있어 HTTP request body에 담아 서버로 전송합니다.

 

 

 MultipartResolver 

  • MultipartResolver의 경우 사용자의 파일업로드 요청에 대한 처리를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 MultipartResolver의 경우에는 개발자가 별도의 Bean을 등록하지 않는다고해도 별도로 Spring에서
    등록해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Spring Boot를 사용한다면 기본 구현체가 등록이 됩니다.
  • springMVC에서는 파일 업로드 처리 시 DispatcherServlet에서 사용할 MultipartResolver의 Bean을 등록을 해주어야 합니다.

 

 

 MultipartFile 이란? 

사용자가 업로드한 File을 핸들러에서 손쉽게 다룰 수 있게 도와주는 매개변수 중 하나입니다.

매개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MultipartResolver Bean이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springBoot에서는 자동 등록을 지원하지만, springMVC에서 기본으로 등록해주지 않으므로 꼭 확인해야 합니다.

  • MultipartFile 인터페이스는 스프링에서 업로드 한 파일을 표현할 때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 MultipartFile 인터페이스를 이용해서 업로드한 파일의 이름, 실제 데이터, 파일 크기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File 클래스란? 

  •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입출력 대상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 자바에서는 File클래스를 통해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다룰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그래서 File인스턴스는 파일 일 수도 있고 디렉토리일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 자바가 제공하는 다양한 연산자를 학습.

 

학습할 것

 

참고 자료

 

Java의 정석:최신 Java 8.0 포함

COUPANG

www.coupang.com

 

 

 

 산술 연산자 

  • 산술 연산자에는 사칙 연산자( +, -, *, / )와 나머지 연산자( % )가 있다.
  • 사칙연산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익숙한 것이라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사칙 연산자 

  • 덧셈,( + ), 뺄셈( - ), 곱셈( * ), 나눗셈( / )은 아마도 프로그래밍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산자들 일 것이다.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 ), 연산자가 덧셈( + ), 뺄셈( - )연산자보다 우선순위가 높으므로 먼저 처리된다.
  • 피연산자가 정수형인 경우, 나누는 수로 0을 사용할 수 없다.
    => 만일 0으로 나눈다면 실행 시 에러가 발생할 것이다.

 

 

결과

  • 나누기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가 모두 int타입인 경우, 연산결과 역시 int 타입니다.
    => 실제 연산결과는 2.5일지라도 int타입의 값인 2를 결과로 얻는다.
  • int타입은 소수점을 저장하지 못하므로 정수만 남고 소수점 이하는 버려지기 때문이다.
    => 이 때 반올림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의하자.

 

반응형

 

목표

- 자바의 프리미티브 타입, 변수 그리고 배열을 사용하는 방법을 익힙니다.

 

학습할 것

 

참고 자료

 

* 공부의 목적으로 위 블로그를 참고해서 정리했습니다.

 

 

 타입 추론이란? 

  • 변수의 타입을 명시적으로 적어주지 않아도, 컴파일러가 알아서 이 변수의 타입을 대입된 리터럴로 추론하는 것
  • 대표적인 타입 추론 언어는 자바스크립트, 코틀린, 스위프트 등이 있다.
  • 컴파일 시점에, 컴파일러가 오른쪽에 있는 초기화 값 리터럴로 타입을 추론한다.

 

instanceof(객체 타입을 확인하는 연산자)를 통해 str2의 변수 타입이 String인지 체크해봤습니다.

 

 

컴파일 시점에, 컴파일러가 오른쪽에 있는 초기화 값 리터럴로 타입을 추론합니다.

그래서 str2의 타입이 String으로 선언되어 "str2 변수의 타입은 String입니다" 출력되었습니다.

 

 

 

 

 Var는 키워드(KeyWord)가 아니다 

  • var는 키워드가 아니다.
    => 어떠한 타입도 아니고,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예약어가 아니다.
    => 그래서 우리가 int를 변수 이름으로 만들 수는 없지만, var라는 문자를 변수로 사용 가능하다.

위 사진과 같이 해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Var는 런타임 오버헤드가 없다. 

  • 자바스크립트와 같은 언어들은 let으로 선언되 변수를 중간에 다른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ex) let number = 10; => number = "Hello!!";
  • 하지만 자바에서는 컴파일단에서 에러가 발생한다.

 

 

 

 Var의 잘못된 사용법 

 

1. Var는 초기화없이 사용할 수 없다.

 

 

2. Var 타입 변수에는 null 값이 들어갈 수 없다.

 

 

3. Var 타입은 로컬 변수에만 선언이 가능하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