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TIL

2022년 11월 24일 TIL

by 공부하는개미 2022. 11. 24.

한 것

공부 및 독서

[✅] TIL 작성

[✅]1일 1커밋 & 푸쉬

[✅] 백준 문제 1개(11650번) => 링크

[] 자바의신 공부 및 내용 정리(220p ~ 237p)

[]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챕터 4 독서 및 내용정리(81p ~ 94p)

[] 스프링 시큐리티 강의 1시간(3:00:09분까지)

[] 개발자로 살아남기 책 2시간 독서

[] 개발자로 살아남기 책 읽고 글 작성

[✅] 도서관 가기

 

운동

[] 헬스장 가기

[] 헬스장에 가서 가슴운동

[] 헬스장에서 천고개 계단 500m

[] 런닝 3km

 

기타

[] 발성연습

[] 명상 20분

[] 일기작성

[✅] 아침 긍정확언

[] 인바디 사진 스캔해서 컴퓨터에 저장

 

 

❓ 오늘의 질문, 배운 것

1. 네트워크

  • OS 내부의 프로토콜 스택에 메시지 송신 동작을 의뢰할 때는 Socket 라이브러리 프로그램 부품을 결정된 순번대로 호출한다.
  • 데이터 송수신 동작 4단계 => 네 가지 동작을 실행하는 것은 OS 내부의 프로토콜 스택입니다.
    1. 소켓을 만듭니다.(소켓 작성 단계)
    2. 서버측의 소켓에 파이프를 연결합니다(접속 단계).
    3. 데이터를 송수신합니다(송수신 단계).
    4. 파이프를 분리하고 소켓을 말소합니다(연결 끊기 단계).
  • 소켓이 생기면 디스크럽트라는 것이 돌아오므로 애플리케이션은 이것을 받아서 메모리에 기록해 둡니다.
    • 디스크럽터는 소켓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입니다.
    • 컴퓨터 내부에서는 복수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브라우저에서 2개의 창을 열어 2개의 웹 서버에 동시에 액세스 하는 장면이 그 예입니다.
      => 이 경우 2개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2개의 소켓을 만들어야 합니다.
      => 복수의 소켓이 한 대의 컴퓨터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 소켓을 만든 후 이것을 사용하여 접속 동작이나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실행하는데,
      이때 디스크럽터를 보여주면 프로토콜 스택이 어느 소켓을 사용하여 접속할지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지를 금방 판달할 수 있습니다.
  • IP주소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각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각각 서로 다른 값을 할당한 것입니다.
    즉 IP 주소로 지정할 수 있는 것은 네트워크의 어느 컴퓨터인가 하는 것까지입니다.
    • 접속 동작은 상대측의 소켓에 대해 이루어지므로 소켓을 지정해야 하는ㄷ,
      IP 주소로는 소켓까지 지정할 수 없습니다.
    • 전화를 걸었을 때 "00님 계십니까?" 라고 말하여 통화할 상대를 바꿔달라는 중간 과정이 필요한데,
      이 중간 과정이 포트 번호입니다.
    • IP 주소와 포트 번호의 두 가지를 지정해야 어느 컴퓨터의 어느 소켓과 접속할지를 분명히 지정할 수 있습니다.

 

 

2. 개발자로 살아남기 책 내용 정리

  • 공부해야할 영역
    • 하드웨어, 운영체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데이터베이스와 네트워킹, 개발도구
      - 위 토픽에 맞는 책들을 한권 이상씩 찾고 공부 진행
      - 책을 읽으면 꼭 해봐야 내 것이 된다.
      - 무엇보다 해봐야 벽에 부딪치고 질문이 생기게 된다.
  • 개발에 대한 기본 지식
    • 자료구조 : 스택, 힙
    • 알고리즘 : 회귀 호출, 인덱스, 정렬, 이진 검색
    • 운영체제 : 프로세스, 스레드, 뮤텍스, 세마포어
    • 디자인 패턴 : MVC 아키텍처
    • 프로그래밍 언어 : 네이티브 코드, 콜 바이 밸류, 콜 바이 레퍼런스
    • 경험: 간단한 텍스트 기반 게임 만들어보기
  • 클리티컬 싱킹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왜(why), 어떻게(how), 무엇(what)을, 누가(who), 언제(when) 까지 출시해야 하는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크리티컬 싱킹은 종합적인 관점에서 해법을 구하는 습관
      - 같은 시간을 투자해도 상대적으로 더 큰 성장을 이끌어냅니다.
      - 어떤 프로젝트에 참여했는지가 아니라 어떤 기여를 했는지 확인하는 시대



 

📣 피드백

  • 오전에 도서관을 가서 공부를 한 덕분에 오후까지 공부 습관을 이어갈 수 있었다.
    오전에 공부, 운동 관성을 가지고 오후까지 끌고 가는게 정말 중요한것 같다.
  • 확실히 오전에 할 일을 최대한 끝내면 오후에 피곤했다.
    그래서 오후에 명상을 하고 완급조절을 해줬다.
  • 인바디는 측정하고 끝나는게 아니라 측정한걸 사진으로 컴퓨터에 저장
    저장한 것들을 기반으로 제대로 식단 및 운동을 하고 있는지 체크​

 

 

오늘 공부 시간 인증

  • 타이머 앱을 사용해서 시간을 측정해서 해당부분 캡처 인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