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것
공부 및 독서
[A][✅] TIL 작성
[C][✅] 1일 1커밋 & 푸쉬
[A][✅] 백준 문제 1개(2563번) => 링크
[A][✅] 자바의신 공부 및 내용 정리(292p ~ 308p)
[A][✅]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챕터 독서 및 내용정리(120p ~ 137p)
[A][✅] 스프링 시큐리티 강의 JWT파트 복습 및 노트에 내용 정리 => 링크
[B][❌] 개발자로 살아남기 책 2시간 독서
[B][❌] 개발자로 살아남기 책 읽고 글 작성
[C][✅] 도서관 가기
[A][❌] Spring Security JWT 구현 방법에 대해서 블로그에 초안 작성 및 정리(내일 할 것)
운동
[B][✅] 헬스장 가기
[B][✅] 헬스장에 가서 어깨운동
[B][✅] 헬스장에서 천고개 계단 500m
[C][❌] 런닝 3km
기타
[B][✅] 명상 20분
[C][❌] 일기작성
[A][✅] 아침 긍정확언
[A][✅] 교육기관 비용 결제
[B][❌] 발성연습
❓ 오늘의 질문, 배운 것
1. 네트워크
- MTU 매개변수 : 한 패킷으로 운반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의 최대 길이(이더넷에서는 보통 1,500 바이트)
- MSS : 헤더를 제외하고 한 개의 패킷으로 운반할 수 있는 TCP의 데이터 최대 길이
=> TCP와 IP 헤더를 합계하면 보통 40바이트이다. MTU에서 이 길이를 뺀 것이 MSS가 된다.
=> TCP/IP에는 암호화 등의 프로토콜 옵션이 있어서 이것을 이용하면 헤더가 더 길어진다. 이 경우 헤더 길이만큼 MSS가 짧아진다.
- MSS : 헤더를 제외하고 한 개의 패킷으로 운반할 수 있는 TCP의 데이터 최대 길이
- 데이터가 클 때는 분할하여 보낸다.
- HTTP 리퀘스트 메시지는 보통 그다지 길지 않으므로 한 개의 패킷에 들어가지만,
폼을 사용하여 긴 데이털르 보낼 경우 등 한 개의 패킷에 들어가지 않을 만큼 긴 것도 있다.
ex) 블로그, 게시판 등 긴 문장을 투고할 경우 - 송신측에서 분할한 데이터의 조각을 세어둔 값을 TCP 헤더에 기록하는데,
시퀀스 번호라는 항목이 이에 해당된다.
이 번호를 통해 패킷이 누락되었는지 확인을 한다.
- HTTP 리퀘스트 메시지는 보통 그다지 길지 않으므로 한 개의 패킷에 들어가지만,
- 타임아웃 값 : ACK 번호가 돌아오는 것을 기다리는 시간, 대기 시간
📣 피드백
- 비도 오는 날이여서 도서관에 안가고 집에서 공부하자고 나 자신에게 타협점을 찾고 있었다.
하루에 한번씩 도서관 혹은 카페에서 공부하는 것은 나와의 약속이였다.
결국에 그런 잡생각이 들어올 때 바로 준비를 해서 도서관에서 공부를 진행했다.
⏱오늘 공부 시간 인증
- 타이머 앱을 사용해서 시간을 측정해서 해당부분 캡처 인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