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TIL

2022년 11월 30일 TIL

by 공부하는개미 2022. 11. 30.

한 것

공부 및 독서

[A][✅] TIL 작성

[C][✅] 1일 1커밋 & 푸쉬

[A][✅] 백준 문제 1개(10699번) => 링크

[A][] 자바의신 공부 및 내용 정리(342p ~ 371p)

[A][]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챕터 독서 및 내용정리(145p ~ 182p)

[A][] 스프링 시큐리티 강의 JWT파트 복습 및 노트에 내용 정리 => 링크

[A][] Spring Security JWT 구현 방법관련 내용 추가 => 링크

[B][] 개발자로 살아남기 책 2시간 독서

[B][] 개발자로 살아남기 책 읽고 글 작성

[A][] 도서관 가기

[A][] Dispatcher Sevlet 직접 구현해보기

 

 

운동

[B][] 헬스장 가기

[B][] 헬스장에 가서 등운동

[B][] 헬스장에서 천고개 계단 500m

[C][] 런닝 3km

 

기타

[A][] 아침 긍정확언

[A][] 발성연습

[B][] 명상 20분

[A][] 일기작성

 

 

❓ 오늘의 질문, 배운 것

1. 네트워크

  • IP 헤더의 수신처 IP 주소에는 통신 상대의 주소를 설정합니다.
    송신처 IP 주소는 송신처가 되는 LAN 어댑터를 판단하여 주소를 설정합니다.
  • Gateway : TCP/IP 세계에서 라우터를 가리키는 용어
  • IP 담당 부분은 IP 붙였으면 그 앞에 MAC 헤더를 붙입니다.
    MAC 헤더는 이더넷에서 사용하는 헤더로서 수신처나 송신처의 MAC 주소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라고 불리며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bind)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는 이더넷 또는 토큰링의 48비트 네트워크 카드(NIC) 주소를 뜻한다.
    - IP 주소를 MAC 주소와 매칭 시키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 ARP를 사용하는 이유는 로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에서 단말과 단말 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함께 MAC 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IP 주소를 MAC Address와 매칭하여 목적지 IP의 단말이 소유한
    MAC 주소를 향해 제대로 찾아가기 위함이다.

  • 이더넷
    - 다수의 컴퓨터가 여러 상대와 자유롭게 적은 비용으로 통신하기 위해 고안된 통신 기술이다.
  • MAC(Media Access Control)
    - MAC 헤더나 MAC 주소라는 용어에 나오는 MAC는 이 부분을 가리립니다.
    즉 MAC 회로에서 패킷 송수신 동작을 제어할 때 사용하는 헤더나 주소이므로
    'MAC 헤더' 및 'MAC 주소'라고 부릅니다.

 

 

📣 피드백

  • 지금 가장 하기 싫은것의 중요도를 보고 바로 실행해보기
  • 야외에서 뛰는것은 일교차로 인해서 당분간 금지(감기 예방)

 

 

오늘 공부 시간 인증

  • 타이머 앱을 사용해서 시간을 측정해서 해당부분 캡처 인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