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TIL

2022년 12월 07일 TIL

by 공부하는개미 2022. 12. 7.

한 것

공부 및 독서

[AA][✅] TIL 작성

[A][] 도서관 가기

[A][] 백준 문제 1개(13699번) 풀고 블로그에 정리 => 링크

[A][❌] Dispatcher Sevlet 직접 구현해보기

[A][] 자바의신 공부 및 내용 정리(448p ~ 468p)

[A][]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1%의 네트워크 챕터 독서 및 내용정리(221p ~ 239p)

[A][] 스프링 시큐리티 강의 JWT파트 복습 => 링크

[A][] Spring Security JWT 관련 내용 블로그에 정리(매일매일 꾸준히 작성 중) => 링크

[B][] 타이탄의 도구들 책 2시간 독서

[B][] 타이탄의 도구들 책 읽고 글 작성

[C][] 1일 1커밋 & 푸쉬

[C][] 자바 constant pool과 string pool에 대해 찾고 블로그글 작성

[C][] 백준 11050번 문제 내용 공부 및 블로그 글 내용 추가 => 링크

 

 

운동

[B][] 헬스장 가기

[B][] 헬스장에 가서 어깨운동

[B][] 헬스장에서 천고개 계단 500m

 

기타

[A][] 아침 긍정확언

[A][] 아침 5분일기작성

[A][] 저녁 5분일기작성

[B][] 명상 10분

[B][] 발성연습

 

 

❓ 오늘의 질문, 배운 것

1. 코딩테스트

  • 공식이 나와있는것을 코드로 옮기는 능력이 부족하다.
  • 수학에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너무 부족하고 학습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다.
  • 혼자서 직접 풀어보고 해당 문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상과 개념을 찾아서 글로 정리해보자.
  • 문제를 풀기전에 우선 노트에 내용을 정리해보기.
  • 문제를 풀지 못했다면 풀이를 보면서 한단계 한단계 어떻게 돌아가는지 직접 보기(노트 작성)
  • 공부해야 할 것들
    1. 피보나치 수열이란?
    2. 점화식이란?
    3. 재귀함수란?

 

2. 네트워크

  • 스위칭 허브는 많아야 수천 대 정도의 그다지 크지 않은 네트워크를 가정하여 만든 것이다.
    => 수천 대 정도의 규모인 경우 중계 대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모든 포트에 패킷을 뿌린다는 거친 방법으로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 라우터는 가정하는 네트워크, 즉 인터넷의 규모는 헤아릴 수 없이 크다.
    => 전 세계에 펼쳐져 있을 뿐만 아니라 지금도 계속 확대되고 있으므로 향후 어디까지 대수가 증가할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난 규모이다.
    => 그래서 모두가 중계 대상을 모르는 패킷을 뿌린다면 대량의 패킷이 뿌려지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혼잡해진다.
    그러므로 라우터는 중계 대상이 분명하지 않는 패킷을 폐기한다.
  • 라우터의 경로표에서 '넷마스크' 항목의 0.0.0.0인 행은 '기본 경로'를 나타냅니다.
  • 라우터는 IP의 개념에 기초하여 만들어졌고, 스위칭 허브는 이더넷에 기초하여 만들어졌다.
  • 통신 상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전체의 동작은 IP(라우터)가 담당하고,
    이 동작을 할 때 다음 라우터까지 패킷을 운반하는 부분은 이더넷(스위칭 허브)이 담당합니다.

 

 

📣 피드백

  • 하루 반성 및 칭찬

 

 

오늘 공부 시간 인증

  • 타이머 앱을 사용해서 시간을 측정해서 해당부분 캡처 인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