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959

[C#]백준 1065번 문제 풀이 # 문제 출제 사이트 https://www.acmicpc.net/problem/1065 1065번: 한수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www.acmicpc.net # 문제 어떤 양의 정수 X의 각 자리가 등차수열을 이룬다면, 그 수를 한수라고 한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개의 수의 차이가 일정한 수열을 말한다. N이 주어졌을 때,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한수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첫째 줄에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N이 주어진다. # 출력 첫째 줄에 1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2021. 9. 16.
클래스 vs 객체 = 붕어빵틀 vs 붕어빵??? 아래 글은 공부를 위해 객체지향의 원리 및 이해를 정리한 것 입니다. 📃 참고도서 https://coupa.ng/b62eLH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COUPANG www.coupang.com # 클래스 vs 객체 = 붕어빵틀 vs 붕어빵 ??? 클래스와 객체의 관계를 붕어빵틀과 붕어빵이 아니다. 해당 이론을 코드로 옮겨서 논리가 맞는지 확인해보면 알 수 있다. 붕어빵틀을 생산하는 금형 기계가 있다. 그럼 붕어빵틀이 붕어빵을 찍어내서 클래스라고 하면, 붕어빵틀을 찍어내는 클래스가 된다. 금형기계 붕어빵틀 = new 금형기계(); 위 코드를 인간적인 말로 변역해보면 다음과 같다. 새로운 금형기계를 하나 만들었더니 붕어빵틀이 되었다? # 클래스와 객체를 구분하는 방법 사람은 클래스인.. 2021. 9. 15.
[C#]백준 4673번 문제 풀이 # 문제 출제 사이트 https://www.acmicpc.net/problem/4673 4673번: 셀프 넘버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www.acmicpc.net # 문제 셀프 넘버는 1949년 인도 수학자 D.R. Kaprekar가 이름 붙였다. 양의 정수 n에 대해서 d(n)을 n과 n의 각 자리수를 더하는 함수라고 정의하자. 예를 들어, d(75) = 75+7+5 = 87이다. 양의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이 수를 시작해서 n, d(n), d(d(n)), d(d(d(n))), ... 2021. 9. 15.
객체 지향은 인간 지향이다 아래 글은 공부를 위해 객체지향의 원리 및 이해를 정리한 것 입니다. 📃 참고도서 https://coupa.ng/b62eLH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COUPANG www.coupang.com # 객체 지향 개념의 탄생 기계 중심의 기계어에서 조금 더 인간을 편하게 하는 언어로 발전 하다 발견 "우리가 눈으로 보고, 느끼고, 생활하는 현실 세계처럼 프로그래밍 할 수는 없을까? 라는 고민 속에서 객체 지향의 개념이 탄생 객체 지향은 현실 세계를 반영한다. 0과 1로 대변되는 기계(컴퓨터)에 맞춰 사고하던 방식을 버리고 현실세계를 인지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자 => 객체 지향은 직관적이다. # 객체 지향을 이해하기 위해 생각해본 큰 그림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물, 즉 객.. 2021. 9.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