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언어 & 프레임워크/스프링(Spring)26 [팀프로젝트] Spring 2.6 이상에서 OpenAPI 3.X 사용하기(SpringDoc) 📚 참고자료 블로그 [호형] - Springboot에서 API Docs (Springdoc) 사용하는 방법 (1) => 링크 블로그 [호형] - Springboot에서 API Docs (Springdoc) 사용하는 방법 (2) => 링크 블로그 [soyeon207.log] - Swagger 란 ? (이론 + Spring boot 적용) => 링크 SpringDoc 공식 문서 => 링크 Spring2.6 버전 이상에서 springfox-boot-starter:3.0.0를 dependencies에 추가한 후, 애플리케이션을 Run 하면 아래와 같은에러가 떴습니다. 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Exception: Failed to start bean 'doc.. 2022. 2. 27. [항해99] 코드 커버리지 61% 달성(테스트 코드) 😄 JaCoCo를 이용한 Instruction Coverage 확인 - 총 25,289개의 라인 중 15,553개의 라인의 코드 커버리지(61%)를 달성했습니다. - 코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최대한 커버리지를 높이려고 노력했습니다. - 코드 커버리지를 높임으로써 코드 수정 시 버그 발견이 수월해졌습니다. - 테스트 코드를 작성 하면서 총 서비스 로직에서 3개의 버그를 발견하고 수정했습니다. 😆 소셜로그인 API 제외 시 72% 달성 - 소셜로그인 API를 Mock으로 처리하려고 찾아봤지만 자료가 너무 적고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 결국 소셜로그인 API를 JaCoCo(코드 분석 도구)에서 제외 하는 방법을 찾아 적용했습니다. 2022. 2. 4. [항해99] 테스트 환경 S3 Mock 서버 적용 🤔 팀프로젝트 중 문제점 발견 로컬 혹은 테스트 환경에서 AWS S3에 이미지 파일을 업로드 기능을 테스트가 필요한 상황이였습니다. 그런데 이 때마다 AWS S3 버킷에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 테스트마다 AWS S3 버킷에 이미지 업로드 시 비용 발생 위험 => 더미 이미지 파일이 업로드 되는 문제 발생해서 해당 파일을 삭제 할 때 번거로움 발생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찾아본 결과 S3를 Mock 해주는 방법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로컬에 인메모리 형태로 S3 Mock 서버를 띄우기 파일을 업로드 할 때 영속성이 없는 휘발성 개념 😁 해결 과정 1. build.gradle 외부 의존성(dependencies) 추가 2. S3MockConfig.java 3. 실제 테스트 코드에.. 2022. 2. 4. 토비의 스프링 공부법(백기선님 유튜브 참고) 참고자료유튜브 채널 [백기선] => 링크토비의 스프링 3.1(저자 이일민)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006516 토비의 스프링 3.1 세트『토비의 스프링 3.1』은 스프링을 처음 접하거나 스프링을 경험했지만 스프링이 어렵게 느껴지는 개발자부터 스프링을 활용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려고 하는 아키텍트에book.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97lYN9YW03Q 위의 영상을 기반으로 작성 했습니다. 토비의 스프링을 공부 하다가 어떻게 해야 효율적으로 공부 할 수 있을까 고민하게 되었습니다.이전까지는 단순히 해당 내용을 최대한 간추려서 전부 적을려고 했는데 많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 2022. 1. 15.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