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서72 호모 아카데미우스 - 끝없는 배움[개발자의 삶] 점점 빠르게 변화하던 사회가 코로나로 인해 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호모아카데미우스의 자세가 필요합니다. 호모 아카데미우스는 끝없이 배우고 발전하는 인간을 얘기합니다. 이런 학습하는 인간 중 대표적인 인물은 바로 워런 버핏입니다. 현재 90세(1930년 출생)인 나이에도 아직까지 이름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그는 독서광이라고 부를 정도로 책을 많이 읽습니다. 단순히 그가 책을 많이 읽어서가 아니라, 끊임없이 배움을 추구합니다. 책뿐만 아니라 배움을 원하는 분야 사람을 만나는 것 또한 중요시 생각했습니다. 직접 만나고 조언을 듣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조언은 조언자의 말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자신만의 일과 삶의 철학을 제대로 세우기 위함입니다. 워.. 2020. 11. 10. 핸드폰, TV, 컴퓨터는 죄가 없다.(딴 짓)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를 이루는 것에 우선순위가 적은 행동을 '딴짓'이라고 합니다. 이런 딴짓을 계속하게 되면 점점 더 목표에서 멀어지거나 심하면 아예 이루 지를 못하게 됩니다. 여기서 딴짓은 다양한 행동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핸드폰 사용, TV 시청, 컴퓨터가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알아야 할 것 이 있습니다. 딴짓을 하는 매개체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라는 점입니다. 그래서 딴짓을 유발하는 걸 제거 하는 것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도서 '초집중'의 작가 니르이얄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온라인 기술을 없애봤자 소용이 없었다. 딴짓의 종류만 바뀌었을 뿐이다.' 우리는 딴짓이 내면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그런데 그 딴짓을 실행하게 만드는 방아쇠(트리거) 같은 것들이 있.. 2020. 8. 7. 의지력은 고갈된다?(도서 초집중, 니르이얄) 우리의 의지는 근육을 사용하는 것처럼 고갈된다는 얘기가 있었습니다. 최근 과학적인 근거로는 위 내용이 틀렸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의지력이 고갈된다고 믿는 사람, 의지력이 고갈되지 않는다고 믿는 사람 이 두 집단을 가지고 실험 해 본 결과 "자아 고갈의 징후는 의지력이 유한한 자원이라고 믿는 참가자에게서만 나타났다고 결론 내렸다. - 도서 초집중 내용 중(저자: 니르 이얄) - 위의 내용은 에 발표한 논문입니다. 의지력 고갈 이론은 확실하게 증명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의지력 고갈 이론이 아예 거짓이라는 내용이 아닙니다. 실험 결과 의지력이 유한하다고 믿는 사람들이 실제로 의지력이 고갈된 것처럼 행동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의지력이 고갈되지 않는다고 믿는 게 삶에 더욱 이점을 줍니다. 공부, 일.. 2020. 8. 4. 스마트폰 중독 해결방안 4단계(초집중 니르이얄) 스마트폰 중독은 우리 모두가 쉽게 걸릴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확실히 알아야 할 것은 의존이 곧 중독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지금 스마트폰 중독 해결방안을 찾아보고 개선한다면 충분히 변할 수 있습니다. 도서 '초집중'의 저자 니르이얄은 "폰을 역해킹함으로써 해로운 행동을 유발하는 외부 계기를 차단할 수 있다." 라고 얘기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4단계에 걸친 방법을 따라야 합니다. 4단계는 총 1시간도 안 걸리는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삭제 ▶ 변경 ▶ 정돈 ▶ 교정 1단계 삭제 필요 없어진 앱 삭제 학습 혹은 건강을 유지하는 앱을 제외하고 수시로 알람을 보내는 앱을 과감하게 제거합니다. 이런 앱들은 외부 계기를 쉽게 자극해 딴짓을 유발하게 합니다. 2단계 변경 좋아하는 앱 정리 및 변경.. 2020. 7. 31. 이전 1 ··· 14 15 16 17 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