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TIL

2022년 12월 30일 TIL

by 공부하는개미 2022. 12. 30.

한 것

공부 및 독서

[✅] TIL 작성

[A][] 자바의신 공부 및 내용 정리(940p ~ 1013p)

[A][] 책 <일 잘하는 사람의 시간은 다르게 흘러간다> 30분 읽기

[A][] 책 <일 잘하는 사람의 시간은 다르게 흘러간다> 읽고 간단하게라도 감상문 작성하기

[A][] 자바 웹 프로그래밍 Next Step 3장 과제 => 링크

  => [] 과제 코드 한줄이라도 리팩터링

  => [] 과제 코드 리팩터링 할 것 1개 완료

[A][] 오후에 카페가서 알바시간(18:00) 전까지 공부하기

[A][] 백준 문제 2504번 풀고 블로그 글 1개 작성(내용정리)

  => [] 풀이를 보고 풀면, 풀이를 1 ~ n 단계까지 나눠서 정리하기

  => [] 정리한 각각 단계를 코드로 구현해보기

  => [] 구현한 코드에 주석을 달고 단계를 표시하기

[B][] 사이드프로젝트 할 일 한개라도 블로그에 작성하기 => 링크

[C][] 1일 1커밋 & 푸쉬

[C][ ] Dispatcher Sevlet 직접 구현해보기(보류) => 링크

 

 

운동

[A][] 저녁 알바 끝나자마자 바로 헬스장 가기

[A][] 헬스장에 가서 하체운동

[A][] 헬스장에서 천 고개 계단 500m

[B][] 헬스장에서 운동 후찬물 샤워하기

[B][] 골반 교정운동 유튜브 영상 보고 한번 따라하기 => 유튜브 링크

 

기타

[A][] 아침 일어나자마자 침대에서 긍정 확언하기

[A][] 아침 5분 일기 작성

[A][] 할 일 해야할 순서대로 정렬해보기

[A][❌] 잠자기 전에 5분 일기 작성하면서 하루 피드백하기

[B][] 명상 10분하기

[C][] 발성연습 유튜브 영상 2개 따라하기

 

 

❓ 오늘의 질문, 배운 것

1. 명상 10분을 하면서 느낀 점

  • 명상을 시작하고 8분 정도가 지났다고 생각했는데 5분밖에 되지 않았다.
    => 그만큼 내가 잡생각이 많고 마음의 갈피를 못잡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 명상 초반에는 시각화와 무엇을 먼저 해야할지 계속 고민을 하고 있었다.
  • 5분 후에는 호흡에만 집중했다.
    => 그 결과 저절로 무엇을 해야할 지 생각이 났고 오늘 하루 할 일의 순서를 정하자고 생각했다.
    => 블로그 글에 있는 오늘 하루 할 일의 순서를 바꾸면서 쉽게 해결이 되었다.

2. 책 <일 잘하는 사람의 시간은 다르게 흘러간다>

  • 중요하고 긴급한 일은 대부분  '내키지 않지만 하고 싶은 일' 경우가 많다
    내 꿈이나 희망 등 하고 싶은 일과 관계가 있어야 한다.
    즉 그 일이 내 생계를 위한 것이라는 최저 기준 외에도 내 꿈이나 희망 등 하고 
    싶은 일과 관계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하는 일과 내가 미래에 하고 싶은 일
    또는 되고 싶은 것과의 사이에 접점을 발견하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노력이 없다면 일을 통해 성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소모하고 지치게 된다.

  • 나만의 신체리듬 찾기
    - 오전 -
    대체로 컨디션이 정말 좋고 피곤함이 확실히 덜하다. 이론적인 것들을 공부 할 때 이 시간을 활용한다.
    꼭 읽어야할 책들을 읽고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인풋)

    - 오후 - 
    오후에는 상당히 졸린 경우가 많고 오후 18:00 시작되는 알바때문에 마음도 조금 무거운 시간이다.
    오전에 읽은 책의 내용을 블로그에 직접적으로 정리를 하거나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 시간(아웃풋)
    지금에서는 가장 개선해야 하고 잘 활용해야 하는 시간이다.

    - 저녁 -
    18:00 ~ 22:00까지 아르바이트를 한다. 그리고나서 바로 아르바이트를 갈 예정이다.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으로 공부를 한 습관을 이어나가기 위해 최대한 저녁에는 너무 놀거나 하지 않는다.
    쉬기 위해 하는 것이라면 웹툰을 보거나 간단하게 유튜브를 본다.
    대신 잠자리에 들어서는 시각화와 독서를 통해 생각을 정리해보자.|
    저자가 얘기하는 내일을 시뮬레이션을 해보는것도 좋아보인다.

 

 

📣 피드백

  • 어제 할 일을 제대로 못해서 오늘로 넘어왔다.
    => 어제도 적었지만 공부를 1순위로 두고 하루 8시간 공부 타이머로 찍어본다.
    => 졸리거나 집중이 안되도 우선 앉아서 공부를 해본다.
    => 오후에 집중도가 거의 흩어지는데 점심을 먹고 바로 카페를 가자.
  • 할 일을 해야할 순서대로 정렬을 해보기.
  • 백준 알고리즘 문제를 푸는데 상당히 많은 시간을 사용했다.
    => 처음에 다른 사람이 정리해놓은 풀이만 보고 풀어볼려고 했는데 풀지 못했다.
    => 정답을 바로 보는것보다 최대한 혼자 풀어보고 싶었다.
    => 문제를 풀 때 생각만 하지 않고 최대한 직접 각 단계를 글로 작성했다.
    => 다른 것을 할 때도 해당 알고리즘을 푸는 방법을 생각해봤다.
    => 알고리즘 계속 못 푸는 문제를 봤을 때 어떻게 하는지 찾아보기
    => 잘못 푼 코드라도 블로그에 정리해서 내용 정리
  • 목표 공부시간이였던 8시간보다 1시간이나 더 공부를 했다.
    => 뽀모도로 타이머를 활용한 집중과 휴식 및 준비기간 분리
    => 휴식 및 준비기간에는 집중도를 최대한 끌어올릴 준비하기(명상, 배운걸 간단하게 정리하는 행위, 다음 공부 준비)
  • 자기 전에 무조건 피드백 진행하기
    => 12시쯤에도 계속 공부를 하고 있다면 잠시 흐름을 끊고 5분정도 피드백 작성

 

 

 

오늘 공부 시간 인증

  • 타이머 앱을 사용해서 시간을 측정해서 해당부분 캡처 인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