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개북33

[노개북] 클린코드 12일차 - 노마드 코더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변수를 비공개(private)로 정의하는 이유가 있다. => 남들이 변수에 의존하지 않게 만들고 싶어서다. => 충동이든 변덕이든, 변수 타입이나 구현을 맘대로 바꾸고 싶어서다. 자료 추상화 =>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클래스다. => 자료를 세세하게 공개하기보다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표현하는 편이 좋다. => 인터페이스나 조회/설정 함수만으로는 추상화가 이뤄지지 않는다. => 개발자는 객체가 포함하는 자료를 표현할 가장 좋은 방법을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 아무 생각 없이 조회/설정 함수를 추가하는 방법이 가장 나쁘다. 자료/객체 비대칭 객체: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긴 채 자료를 다루는 함.. 2022. 2. 1.
[노개북] 클린코드 11일차 - 노마드 코더 💩 리팩터링 전 🥰 리팩터링 후 🤔 느낀 점 자바스크립트에서 시간관련 함수가 있나 검색하는 시간이 꽤 길었습니다. => 결론은 시간 관련 함수 없이 예시로 나온 로직으로 리팩터링 하는 것이였습니다. => 생각해보니 로직을 변경하면 리팩터링이라고 하기 좀 뭐한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하다가 잘 작성하신분 코드를 참고했습니다. => 갓갓갓 플린님 링크 => 타입스크립트로 리팩터링 하신 분 => 개인적으로 되게 깔끔하다고 느낀 코드 확실히 어떤 코드가 깨끗한 코드이고 더려운 코드인지 판단 할 수 있게 된것 같습니다. 2022. 1. 31.
[노개북] 클린코드 10일차 - 노마드 코더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코드 형식은 의사소통의 일환이다. => 의사소통은 전문 개발자의 일차적인 의무다. => 오늘 구현한 코드의 가동성은 앞으로 바뀔 코드의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신문 기사처럼 작성하라 => 이름은 간단하면서도 설명이 가능하게 짓는다. => 이름만 보고도 올바른 모듈을 살펴보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정도로 신경 써서 짓는다. => 소스 파일 첫 부분은 고차원 개념과 알고리즘을 설명한다. => 아래로 내려갈수록 의도를 세세하게 묘사한다. => 마지막에는 가장 저 차원 함수와 세부 내역이 나온다. 변수 선언 => 우리가 만든 함수는 매우 짧으므로 지역 변수는 각 함수 맨 처음에 선언한다. => 루프를 제어하는 변수는 흔히 루프 문 내부에 선언한다. ex) fo.. 2022. 1. 30.
[노개북] 클린코드 9일차 - 노마드 코더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함수나 변수로 표현할 수 있다면 주석을 달지 마라 => 함수나 변수에 정보를 담자는 것에 한 단계 더 세밀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 함수나 변수에 뚜렷한 정보를 담았다면 주석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공로를 돌리거나 저자를 표시하는 주석(Bad case) => 코드를 작성한 사람의 이름을 작성하는 것 => 예전에 한번 사용해볼까도 했던 부분인데 생각해보면 시간이 지나면 거짓된 정보가 될 수 있다. => 리팩터링을 꾸준히 거치고 다양한 사람의 손에 의해 수정된다면 저자는 필요 없을 것 같다. => 차라리 이런 정보는 주석이 아니라 블로그에 처음 작성했던 코드를 같이 작성하면 어떨까 싶다. 전역 정보와 너무 많은 정보 => 주석을 달아야 한다면 근처에 있는 코드.. 2022.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