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서72 [노개북] 클린코드 20일차 - 노마드 코더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클래스는 작아야 한다! 함수는 물리적인 행 수로 크기를 측정했다. 클래스는 다른 척도로 사용한다. 클래스가 맡은 책임을 센다. 클래스 이름은 해당 클래스 책임을 기술해야 한다. 실제로 작명은 클래스 크기를 줄이는 첫 번째 관문이다. 클래스 설명은 만일("if"), 그리고("and"), -(하)며("or"), 하지만("but")을 사용하지 않고서 25 단어 내외로 가능해야 한다.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SRP) 클래스나 모듈을 변경할 이유가 하나, 단 하나뿐이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SRP는 '책임'이라는 개념을 정의하며 적절한 클래스 크기를 제시한다. => 클래스는 책임, 즉 변경할 이유가 하나여야 한다는 의미다.. 2022. 2. 10. [노개북] 클린코드 18일차 - 노마드 코더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이중 표준 실제 환경에서는 절대로 안 되지만 테스트 환경에서는 전혀 문제없는 방식이 있다. => 대게 메모리나 CPU 효율과 관련 있는 경우다. => 코드의 깨끗함과는 철저히 무관하다. 테스트 당 assert 하나 assert 문이 단 하나인 함수는 결론이 하나라서 코드를 이해하기 쉽고 빠르다. 독자적인 테스트 클래스를 만들어 @Before 함수에 given/when 부분을 넣고 @Test 함수에 then 부분을 넣어도 된다. assert 문 개수는 최대한 줄여야 좋다. 테스트 당 개념 하나 테스트 함수마다 한 개념만 테스트하라 이것저것 잡다한 개념을 연속으로 테스트하는 긴 함수는 피한다. F.I.R.S.T 빠르게(Fast) => 테스트가 느리면 자주 돌릴 엄두.. 2022. 2. 7. [노개북] 클린코드 17일차 - 노마드 코더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TDD 법칙 세 가지 첫째: 실패하는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까지 실제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 둘째: 컴파일은 실패하지 않으면서 실행이 실패하는 정도로만 단위 테스트를 작성한다. 셋째: 현재 실패하는 테스트를 통과할 정도로만 실제 코드를 작성한다. 테스트는 유연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제공한다 코드에 유연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제공하는 버팀목이 바로 단위 테스트다. => 이유는 테스트 케이스가 있으면 변경이 두렵지 않으니까! => 테스트 케이스가 없다면 모든 변경이 잠정적인 버그다. 테스트 커버리지가 높을수록 공포는 줄어든다. 테스트 코드가 지저분할수록 실제 코드도 지저분해진다. => 결국 테스트 코드를 잃어버리고 실제 코드도 망가진다. 깨끗한 테스트.. 2022. 2. 6. [노개북] 클린코드 16일차 - 노마드 코더 💗 노개북 최애 틸(TIL) Flynn(플린님) 리팩터링 미션 할 때 플린님의 깨끗한 코드를 참고했습니다. 덕분에 공부도 많이 되었습니다. 플린님 TIL 링크 친슈님 3줄 요약과 읽은 소감을 가장 많이 보고 배웠던 TIL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막히는 부분을 가장 많이 참고했던 곳 중 하나입니다. 친슈님 TIL 링크 Jz님 처음 노개북 작성을 했을 때 어떻게 정리할지 감이 안 잡혔을 때 Jz님 TIL을 보고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막히는 부분을 가장 많이 참고했던 곳 중 하나입니다. Jz님 TIL 링크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써보세요. 경계 살피고 익히기 우리 자신을 위해 우리가 사용할 코드를 테스트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외부 코드를 곧바로 작성해 외부 코드를 호출하는 대신 먼저 간.. 2022. 2. 5.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8 다음